반응형

개발 3

정보처리기사 DB(데이터베이스) 요점정리

DB(데이터베이스)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데이터의 집합이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라고 한다 테이블 명(예시) : 고객리스트 고객번호 이름 전화번호 성별 1 박중영 010-1111-1111 남 2 박중이 010-2222-2222 여 3 박중삼 010-3333-3333 남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구조 릴레이션(관계) : DB 테이블 (고객리스트) 속성 (어트리뷰트) : (고객번호, 이름, 전화번호) 튜플 (엔티티) : 속성을 제외한 릴레이션의 각 행 도메인 : 릴레이션에 포함된 각각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 (위와 같은 테이블에서 성별은 남, 여 이외의 값을 가질 수 없음) 차수 : 한 릴레이션에 들어있는 어트리뷰트의 수 (위의 경우 3) 모든 ..

개발 2023.03.14

웹 표준화와 웹 접근성을 따르기 위한 HTML, CSS 요소 및 속성

HTML과 CSS는 웹 표준화와 웹 접근성을 따르기 위한 주요 요소입니다. HTML은 웹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정의하고, CSS는 웹 문서의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정의합니다. HTML 요소 중에서는 HTML5에서 도입된 시맨틱 태그(semantic tag)가 웹 표준화와 웹 접근성에 기여합니다. 시맨틱 태그란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태그로, 예를 들면 , , , , 등이 있습니다.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웹사이트의 가독성과 검색엔진 최적화(SEO)에 도움이 됩니다. CSS 요소 중에서는 스타일시트의 분리, 색상의 명시, 폰트의 크기 및 가독성, 레이아웃의 유연성 등이 웹 표준화와 웹 접근성에 영향을 줍니다. 스타일시트의 분리란 HTML과 CSS를 별도의 파일로 작성하여 HTML은 문서의 구..

개발 2023.03.14

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

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은 현대 웹 개발에서 꼭 준수해야 하는 세 가지 요소입니다. 웹 표준은 웹에서 사용되는 언어나 기술에 대한 규약으로, 이를 준수하면 웹사이트가 다양한 환경과 기기에서도 잘 작동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워집니다. 표준화된 문법과 기술을 사용하면 다른 브라우저나 플랫폼에서도 동일한 화면을 보여주어 사용자들이 일관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.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.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해서는 키보드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거나, 저시력자나 청각 장애인을 위한 대체 텍스트나 자막 등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. 이를 준수하면 웹사이트의 사용자층을 확대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..

개발 2023.03.14
반응형